버림에 대한 예화 모음
<성구와 금언>
★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온 족속을 버리사 괴롭게 하시며 노략군의 손에 붙이시고 그 앞에 쫓아내시니라(왕하 17 : 20).
★ 주께서 주의 백성 야곱 족속을 버리셨음은 그들에게 동방풍속이 가득하며 그들이 블레셋 사람 같이 술객이 되며 이방인으로 더불어 손을 잡아 언약하였음이라(사 2 : 6).
★ 출 3 : 5 ; 대하 7 : 20 ; 마 5 : 29 ; 막 1 : 18 ; 빌 3 : 8 ; 롬 1 : 28 ; 고전 9 : 27.
★ 나는 잃어버리는 은혜를 가지지 않는 사람과는 상종하고 싶지 않다(임마누엘 칸트).
<실 화>
○ 인도에 썬다싱은 청년시절부터 신앙이 독실하였다. 그의 숙부는 굴지의 갑부이면서 기독교를 반대하였다.
하루는 숙부가 양자인 썬다싱에게 기독교신앙을 버리라고 권유하였다.
그러나 썬다싱은 죽어도 예수를 버릴 수 없다고 거절하였다.
그러면 나의 재산을 너에게 상속해 줄 수 없다고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좋습니다. 오늘 있다가도 없어지는 재물은 못 받아도 썩지 않고 쇠하지 않는 영원한 천국을 버릴 수 없다고 하고 숙부의 수 억대 재산을 포기했다고 한다.
★ 미국에 어떤 목사님의 사무실에 어떤 부인이 찾아와 예수 믿겠다고 자청하므로 영접하여 교적에 입교시켰다.
그때부터 그 부인은 열심히 예배에 참석하고 11조도 잘 내고 새벽 기도회에도 빠짐없이 잘 나왔다.
일년이 지나서는 이 부인이 교회에 나오지 않았다. 목사님이 심방을 가서 대문을 두드리니 한참 있다가 나와서 만나도 냉담한 태도였다.
무슨 일이 있느냐고 물어보며 교회에 안 나오는 이유를 물었더니 이제는 교회에 안 나간다는 것이다.
예배당에서는 거짓말만 하는 곳이라는 것이다. 이유를 물으니, "목사님 설교할 때 구하면 이루어 주신다고 하였지요, 주기는 무엇을 줘요. 내 아들 폐병이 들어서 다 죽어갑니다."
그때 옆에 서 있던 권사님이 "예수를 잘 믿고 하나님 앞에 구하면 다 이루어 주십니다. 아들병도 나을 수 있어요." 하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그 부인은 일년동안 잘 다니고 충성하면서 구했으나 얼마 전에 아들이 죽었다. 우리 가정 형편을 보니까 목사님은 거짓말만 했어요. 이때 목사님은 이사야 59 : 1을 펴서 읽어 주었다. "여호와의 손이 짧아서 구원치 못하심도 아니요 귀가 둔하여 듣지 못하심도 아니라 오직 너희 죄악이 너희와 너희 하나님 사이를 내었고 네 죄가 그 얼굴을 가리워서 너희를 듣지 않으시게 함이니라."하는 성경을 읽어 주고 자매 님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릅니다. 자매님이 기도하신 때 회개하시고 기도하셨나요?" "회개 하지 않았어요."
"그러므로 당신에 기도는 하나님께서 들을 수 없었습니다."하였더니 다시 교회를 잘 나오고 있단다.
(홍대위 설교에서)
★ 버림당한 국회의원
옛날 아테네 국회 중에 독수리에게 쫓긴 새 한 마리가 피할 곳을 찾아 국회의사당 안으로 날아 들어와 한 국회의원의 품속에 들어갔다. 그 의원은 그 새를 잡아 쥐고 돌 위에 메여 때려 죽였다.
이 잔인한 행동을 본 동료의원들은 그에게 잔인 무도한 자라고 분개하였다.
곤궁에 빠진 새가 품에 들어온 것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없이 냉정하게 죽인 무자비한 사람에게 아테네의 시정을 의논할 자격이 없다고 했다.
이런 의원은 마땅히 제명하여 버리는 것이 합당할 것이라는 제의에 만장일치로 결의하여 그 의원은 즉시 퇴장하고 말았다.
★ J.J 브러더스 박사가 성지순례를 하는 중에 어느 풀밭에서 예쁜 아이가 누워 있는 것을 보고 그 아기가 어찌 예쁜지 안아서 입을 맞추고 뺨도 비비려고 했더니 그 옆에 있는 사람들이 "안돼요 더러운 아이 에요."
만류하길래 왜 그런가 물었더니 그 부모가 모두 문둥병 자인데 그 아이도 역시 문둥이로 태어났으므로 건드리면 안 된다고 버렸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죄악의 씨는 버림받는다.
'♠예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에 대한 예화 모음 (0) | 2011.08.01 |
---|---|
병과 신유에 대한 예화 모음 (0) | 2011.08.01 |
부흥에 대한 예화모음 (0) | 2011.08.01 |
부활에 관한 예화 모음 (0) | 2011.08.01 |
부활절 예화 자료 모음 (0) | 2011.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