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종류의 하나님 체험/ 민수기 21:4-9
이 시간에는 두 종류의 하나님 체험 이라는 제목으로 은혜 받겠습니다.
본문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체험했습니다. 그들의 체험은,
긍정적인 면의 체험이 있었고, 또 부정적인 면의 체험이 있었습니다.
★본문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생활 끝부분에 일어난 일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왕의 길이라는 좋은 길을 통해서 가려고, 에돔 왕에게 길을 열어달라고 부탁했지만. 에돔 왕이 이스라엘 백성들의 통행을 거절했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다시 광야를 돌아야 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40년 가까이 광야 생활을 했는데, 또 다시 좋은 길로 가지 못하고, 광야로 돌아야 하니 마음이 상했습니다. 마음이 상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하였고. 그들이 원망하자.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백성을 물게 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 중에 불뱀에 물려서 죽은 자가 많았고, 또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었습니다. 그 때야 비로소 백성이 모세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함으로 범죄하였나이다.
★당신이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 뱀들을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그래서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기도하였고. 그 기도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시면서“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아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하십니다.
★모세가 하나님이 주신 응답대로,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았습니다. 뱀에게 물린 사람들이 모세가 만든 놋뱀을 쳐다보니 뱀의 독이 몸에서 사라지고 모두 살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긍정적인 면에서 체험하기도 했고, 부정적인 면에서 체험하기도 했습니다.
1. 심판과 징계로 하나님을 체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입이 방정맞은 사람들 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불뱀에 우연히 물린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불뱀들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보내서 물게 하신 것입니다. 여기서 불뱀에 물려서 죽은 사람들은 하나님께 심판을 받은 것입니다.
★그리고 불뱀에 물렸으나, 아직 죽지 않은 사람들은 하나님께 징계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하나님을 체험하기는 했는데,
부정적으로 체험한 것입니다. 심판하시는 하나님, 징계하시는 하나님을 체험한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을 받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원망 때문입니다.
★고린도전서 10:10에. “그들 가운데 어떤 사람들이 원망하다가 멸망시키는 자에게 멸망하였나니 너희는 그들과 같이 원망하지 말라” 여기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광야 생활을 언급하면서 그들은 우리의 본보기라고 말씀합니다. 그들은 원망하다가, 하나님의 심판과 징계를 받은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처럼 원망하면 안 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원망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➀길이 험했기 때문입니다. ➁마음이 상했기 때문입니다. ➂하나님을 불신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장 좋은 것을 주시는 하나님을 믿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고, 원치 않는 상황이 벌어졌을 때, “하나님께서는 가장 좋은 것을 주신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신다”라고 믿고 그렇게 고백했어야 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들에게는 좋으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없었던 것입니다.
★저와 여러분 중에는 부정적인 방법으로 하나님을 경험하는 분들이 없기를 바랍니다. 하나님의 심판을 받고 그 때야“하나님이 살아계시는구나!”라고 고백한다면 이미 늦은 것입니다.
2. 하나님의 능력으로 하나님을 체험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불뱀에 물려서 심판과 징계를 받은 백성들이, 모세가 받은 응답대로 놋뱀을 바라보므로 치료를 받고, 능력의 하나님을 긍정적으로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어느 때 능력에 하나님을 체험 할까요?
1) 회개할 때 하나님을 체험합니다.
★7절에 보면, 백성들이 모세에게 “우리가 여호와와 당신을 향하여 원망함으로 범죄하였사오니”라고 고백합니다. 백성들이 모세를 원망할 때 그것이 하나님을 향한 원망이었던 것처럼, 백성들이 모세에게 자신들이 잘못했음을 고백한 것 역시 하나님을 향한 고백입니다.
★하나님의 심판이나 징계는 원인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심판과 징계에서 벗어나려면, 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야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이 하나님의 심판과 징계를 받은 것이 원망 때문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원망의 죄를 고백하고 회개했던 것입니다.
★사도행전 2:37-38에 보면, 성령의 선물을 받는 비결을 가르쳐줍니다. “그들이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물어 이르되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거늘 38 베드로가 이르되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받으라. 그리하면 성령의 선물을 받으리라”하십니다. 한 마디로 말하면 회개하라는 것입니다. 죄가 성령의 선물을 막고 있는데, 회개하여 죄사함을 받으면 성령을 선물로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에를들면 수도사업소에서 우리 집에 수돗물을 보내는데 수돗물이 우리 집까지 오는 중간에 10개의 밸브가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그 중에 하나가 고장이 났습니다. 그러면 수도사업소에서 보내는 물이 우리 집에 올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모든 밸브를 교체할 필요는 없습니다.
고장 난 밸브를 찾아서 그걸 고쳐야 합니다. 회개도 그런 것입니다. 하나님의 심판과 징계를 받도록 원인을 제공한 죄가 있습니다. 그 죄를 찾아서 해결하는 것이 회개입니다.
★성경 전체를 통해서 보면 회개는 몇 단계가 있습니다. ➀죄의 자각입니다. ➁죄의 고백입니다. ➂행동의 변화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회개의 3단계 중에 1단계와 2단계를 실행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이 회개를 받으시고 문제를 해결해주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나아와서 기도할 때는,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자신의 죄를 깨닫고 하나님께 구체적으로 자백해야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를 사 해주십니다. 그 다음에 중요한 것은, 생활 속에서 3단계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행동의 변화, 생활의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참된 회개입니다.
회개는 죄를 자각하고 죄를 고백하고 행동의 변화까지 가야 진정한 회개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회개할 때 하나님을 체험하는 것입니다.
2) 기도할 때 하나님을 체험합니다.
★7절에 보면, 모세가 백성들의 말을 듣고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그랬더니 하나님의 응답이 있었고, 그 응답에 순종하여 능력의 하나님을 체험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능력의 하나님을 체험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 기도입니다. ★성경은 수많은 사람들의 기도와 기도에 응답하신 하나님에 관한 기록입니다. 성경에 많은 기도응답을 기록한 것은, 우리도 그렇게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응답하신다는 약속을 주시기 위함입니다.
★마태복음 7:7에. “구하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리하면 찾아낼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하나님은 구하는 자에게 주십니다. 하나님은 찾는 자에게는 찾게 하시고 문들 두드리는 자에게 열리게 하십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자녀가 기도하면 항상 가장 좋은 것을 주십니다.
우리는 기도로 능력의 하나님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3) 하나님의 말씀대로 행할 때 하나님을 체험합니다.
★7절에서 모세가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그랬더니 하나님께서 8절에서 응답해주셨습니다.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아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 9절을 보면 모세가 하나님의 응답에 순종해서,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았습니다. 그리고 죽어가던 백성들이 놋뱀을 쳐다보니 살았습니다.
★기도생활을 하는 분들 중에 3단계인 순종의 부분이 안 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니 기도해도 하나님을 풍성하게 체험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기도하면 하나님은 거기에 합당하게 말씀하십니다. 그러면 우리는 그대로 순종해야 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응답에 순종하면, 능력의 하나님을 체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모세의 사역은, 기도와 하나님의 응답과 순종을 통한 기적의 연속이었습니다. 모세는. 문제를 만나면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그가 기도하면 하나님이 어떻게 할 것을 말씀해주셨습니다. 모세가 그 응답에 순종하면 놀라운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홍해 앞에서는 지팡이를 앞으로 내밀라는 하나님의 응답이 있었고, 모세가 순종하자 홍해가 갈라졌습니다. 마라의 쓴물을 만났을 때는, 하나님께서 한 나뭇가지를 지시하셨고, 그 나뭇가지를 물에 던지자 쓴물이 단 물이 되었습니다. 물을 구하지 못할 때에는, 하나님께서 지팡이로 반석을 치라하셨고, 모세가 순종하여 지팡이로 반석을 치자 반석에서 물이 흘러넘쳐서 백성들이 마셨습니다.
★여호수아의 사역도 모세처럼, 하나님의 응답에 순종하므로
기적이 연속적으로 일어났습니다. 하나님은 우기이기 때문에 요단강이 넘치는데 요단강을 밟으라 하셨습니다. 여호수아가 순종하자 요단강이 갈라졌습니다. ★여리고 성 앞에서는 여리고를 돌라는 하나님의 응답이 있었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서 여리고를 돌았고, 여리고 성은 무너졌습니다.
★우리는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야 합니다. 설교를 들을 때마다 내게 하시는 주님의 음성을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내 안에 거하시는 성령님의 음성을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말씀대로 순종하면, 우리는 반드시 능력의 하나님을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4)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볼 때 하나님을 체험합니다.
★본문에 보면, 불뱀은 모두 복수로 되어 있는 반면에, 장대 높이 달아놓은 놋뱀은 단수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놋뱀은 우리 대신 십자가에서 심판을 받으신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합니다. 이 말씀이 신약성경
★요 3:14-15에.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하십니다. 모세가 놋뱀을 장대에 매달았던 것처럼,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실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놋뱀을 보고 죽어가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놋뱀을 순종해서 쳐다본 자는 산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믿으면 영생을 얻는 것입니다. 광야에서 불뱀에 물린 이스라엘 백성들이 놋뱀을 바라본 것처럼, 우리는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교회생활 하면서도 그리스도를 바라보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여러분! 교인들이 교회생활을 하면서 주님을 바라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주님보다 더 집중하는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오백원동전이 큽니까? 태양이 큽니까?”당연히 태양이 크죠. 그런데 동전을 눈앞으로 가까이 가져가면 태양이 가려 보이지 않습니다. 작은 동전으로 인하여 태양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마찬가지 원리입니다. 우리가 너무 세상의 것을 가까이 하면 주님이 보이지 않는 것 입니다. ★취미생활, 돈벌이, 자녀, TV시청, 인터넷 게임, 연애 등 주님보다 더 가까이 하는 것이 있다면, 그런 것들로 인하여 영적이 눈이 가려지고 주님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은 모든 것을 그리스도라는 안경으로 봐야 합니다. 내가 구원을 받는 것도 내 의나 내 공로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공로 때문입니다. 내 기도가 응답 되는 것도, 내가 열심히 열정적으로 기도해서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받는 것입니다. 내가 사랑하는 것도 내 감정 내 의지로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시각과 주님의 마음으로 사랑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모든 것이 주님으로 해석 되어야 하고, 모든 것이 주님을 통과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불뱀에 물린 이스라엘 백성들이 장대에 달린 놋뱀을 보고 산 것처럼, 우리의 영혼도, 우리의 정신도, 우리의 관계도, 우리의 가정도, 우리의 생활도 사는 역사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결론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구원 받은 것은, 그들이 죄를 자각하고 고백하며 순종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그를 믿으며,
그의 말씀에 순종 하므로, 죄사함을 받고 성령으로 충만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하나님께서 구원해 주시며 겸하여 형통의 복도 주시기를 예수 이름으로 축원 합니다.
'▣모세 5 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 창세기 1:3-4 (0) | 2022.05.12 |
---|---|
하나님의 말씀을 행할 수 있는 비결 2/ 신 11:26-28 (0) | 2021.10.14 |
불뱀 사건이 주는 교훈 민수기 21:4-9 (0) | 2021.09.02 |
광야의 하나님은, 신명기 8:1~4 (0) | 2021.07.22 |
홍해에서 역사하신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