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과, 네 본 것과, 이제 있는 일과, 장차 될 일
제 5 과, 네 본 것과, 이제 있는 일과, 장차 될 일
요한계시록 1 :19 ~ 20
서론 : 사도 요한은 요한계시록의 대지를 세 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19절에 보면 “그러므로 네가 본 것과, 지금 있는 일과, 장차 될 일을 기록하라 ”는 말씀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네가 본 것이란, 사도 요한이 이 계시를 받을 당시, 그의 눈앞에 펼쳐졌던 장면들을 말 합니다.
♣다음에 지금 있는 일은, 지금 요한이 받은 계시를 아시아에 있는 7교회에 보내게 되는데, 그 7교회의 형편을 지금 있는 일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장차 될 일이란, 이 계시의 전체적인 내용으로서, 인류의 종말에 일어날 징조와, 구원과, 심판에 대한 계시를 말합니다.
♣세 대지 중, 앞서 구분한‘지금 있는 일’과 ‘네가 본 것은, “장차 될 일”을 계시해 주시기 위해, 필요한 장면들입니다.
오늘은 3대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네가 본 것
요한이 본 것은, 이 종말의 계시를 받을 때, 볼 수 있었던 하늘 보좌의 광경들입니다. 장수를 든다면 1,4,5장 등입니다. ♣1장은 기도하는 요한 앞에 계시자가 나타나, ♣요한에게 계시자의 모습을 나타내 보여 주셨습니다. ♣요한은 이 때 계시자가 누구며, ♣그가 왜 계시를 자기에게 보여 주셨는지,
♣이 계시를 어떻게 해야 할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4장은 요한에게 계시해 주신 종말의 사건을, 계획하고 집행하는 곳이 어디인지에 대하여, 밝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다음에 5장은 이 같은 종말적 계시를, 친히 집행하실 분이 누구이신 지에 대하여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요한이 본 것이 중요한 것은, 이 계시자가 누구이며, 이 계시를 집행하는 곳이 어디이며, 또한 이 계시를 집행하는 분이 누구이신 가에 대해, 명확한 답을 보여 주시므로, 요한에게 계시해 주신 종말적인 계시는,
♣“반드시 속히 될 일”이며, “때가 가까운 일”이며, 또한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의 증거인 것을, 요한은 자기가 본대로 다 증거한 것입니다.
2. 지금 있는 일
♣지금 있는 일이란, 2장과 3장에 나오는 7교회를 의미합니다.
요한은 이 계시를 받을 때, 예수님으로부터 11절에“ 이르되 네가 보는 것을 두루마리에 써서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등 일곱 교회에 보내라”는 명령을 받았는데, 그 7교회에 대한 당시 형편이 계시 상, 지금 있는 일로 표현 하고 있습니다.
♣이 7교회의 사자는, 그 당시 소아시아 지역에 있었던 이들 7교회의 목회자들을 의미하는데, 더 정확히는 주님 오실 때까지, 이 지상에서 하나님의 교회를 맡아 사역할 주의 종들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계시를 주실 때 “반드시 속히 될 일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지시하신 계시라고 하신 것은, 주님이 오실 때까지, 모든 하나님의 종들이 받아 “읽고 듣고 지키는 자”가 되도록 힘써야 할 하나님의 말씀이, 바로 요한계시록임을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지금 있는 일”이란, 각 교회의 영적인 형편을 주님의 예리하신 눈으로 살피신 바를 지적하셔서, 책망하실 것을 책망하시고, 칭찬하실 일을 칭찬하시며, 회개할 것을 권면하십니다.
그리고 만약 그 권고를 듣지 않을 때에는, 그들에게 내릴 징계와 심판에 관한 경고을 들려주시는데, 이 같은 것들은 종말적인 교회에 들려주시는, 예수님의 경고 입니다.
3. 장차 될 일
♣요한계시록의 핵심적인 중요 계시는, 모두 “장차 될 일”에 속한 내용들입니다. 주의 재림의 시기는, 장차 될 일이기 때문입니다.
(1) 그러면 “장차”라고 표현된 시대는, 과연 어느 시대를 의미하고 있는 것일까요? : 이 해답은 어렵지 않게 풀리는데. 이 계시의 전 내용이, 온전히 “주의 재림”에 관한 사건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장차 될 일이란, 주 재림 시에 있을 사건들을 의미함이 틀림없는 것 입니다. 앞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요한계시록의 전 내용이, 주의 재림 시에 성취될, 종말론적인 사건으로 보여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2) 장차 될 일의 사건이, 7인의 사건, 7나팔의 사건으로 전개되며, 여기서 세가지 화가 등장하고, 7대접 심판이 등장합니다. 요한계시록에 계시된 종말적인 사건은, 모두 이 사건들이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나머지 계시록 내용들은, 이 사건들의 배경을 설명하는 것 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사건들을 예언의 맥을 따라 질서정연하게 정리해 두는 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요한계시록을 공부하는 일에 있어서, 7인, 7나팔, 7대접, 3화에 대한, 서로간의 관계를 잘 파악해야, 사건의 내용을 정확하게 깨닫게 되며, 계시록 해석에 혼선을 피하고, 바른 해석의 결정적인 열쇠가 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합니다.
(3) 오늘 나누어드린 인쇄물에, 인과 나팔과 화와 대접 심판에 관한 맥과 서로간의 관계를 도표로 나타내주고 있는데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인(印)의 사건은 6장에만 있습니다. 이 인 사건은, 요한계시록 전체 내용을 포괄하고 있는 계시록의 총론입니다.
♣여섯째 인까지의 계시의 진행으로, 주의 재림으로 말미암은, 모든 종말적인 사건이 끝나게 됩니다.
♣7째 인은, 7나팔로 전개되며, ♣그 중 마지막 나팔인 7째 나팔은, 다시 7대접으로 전개되므로, 인류의 최종적인 심판이 끝나게 됩니다.
♣그리고 화로는, 5째 나팔이 첫째 화, 여섯째 나팔이 둘째 화, 일곱째 나팔이 셋째 화가 됩니다.
요한계시록 공부는 이처럼 인, 나팔, 대접, 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정확한 구분으로서만이 바른 해답을 찾을 수 있는 것 입니다.
7인과 7나팔과 7대접과 3화에 대한 도표
< 7인 사건 >
1째 인 사건
2째 인 사건
3째 인 사건
4째 인 사건
5째 인 사건
6째 인 사건 < 7 나팔 사건 >
7째 인 사건 .............. ➡ 1째 나팔 사건
⌙ 7나팔사건으로 2째 나팔 사건
3째 나팔 사건
4째 나팔 사건
5째 나팔 사건 (첫째 화)
6째 나팔 사건 (둘쨰 화) < 7대접 심판 >
7째 나팔 사건 (셋째 화) .......
➡ 1째 대접 심판
⌙ 7대접 사건으로 2째 대접 심판
3째 대접 심판
4째 대접 심판
5째 대접 심판
6째 대접 심판
7째 대접 심판
결론 : 위에서 잠시 살펴보았지만, 계시록 해석에 있어서, 인과, 나팔, 대접, 화의 관계를 바로 정립하는 문제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우리는 이 요한계시록 공부를 통해서, 이 문제에 대해 하나하나 짚어 가면서 우리에게 보여주신 종말의 계시를, 바로 깨달아 신부단장을 올바르게 해야 할 것 입니다.
토 의 문 제
① “네가 본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계 1 : 19
② “이제 있는 일”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계 1: 19
③ “장차 될 일”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계1:9
연구과제
* 인(印), 나팔, 대접 사건 / 종말적인 계시에 있어서, 인은 총론적인 계시이다. 인의 계시는, 6장에만 나오는데, 여기서 처음에 등장하는 4말은, 7년 환난 중에 활동하므로, 이 세상에 여러 가지 환난, 재앙 등을 가져 올 세력들이다.
그리고 6째 인으로 주의 재림과 지상의 모든 심판이 마감되므로, 종말의 계시는 끝난다.
♣이제 7째 인을 떼시는 일로 다시 종말적인 사건은 원점으로 돌아가, 이번에는 나팔로, 7년 환난 중에 일어날 여러 가지 사건을 보여 주신다.
♣그리고 7년 환난 기간 중에는, 세 가지 화의 이름으로 불리는, 큰 재앙이 있는데, 그 중에 첫째 화는 다섯째 나팔에 속하며, ♣둘째 화는 여섯째 나팔, ♣셋째 화는 7째 나팔에 속하는 사건이다. 이 같은 사건의 진행을 늘 명심해야 한 사건의 이중적인 해석이나 엉뚱한 해석을 피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