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려를 넘어 평강으로 (빌 4:6-7)
염려를 넘어 평강으로 (빌 4:6-7)
이 시간에 “염려를 넘어 평강으로”라는 제목으로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염려 없이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살아가면 살아갈수록 염려할 것은 늘어만 가는 것 같습니다. 국가적으로도 천안호 침몰, 소말리아 해적들의 유조선 탈취, 남북간 긴장, 일본의 독도 망언, 중국의 동북공정,, 한순간도 쉴 틈이 없습니다. 성경에 '염려하지 말라'는 말씀이 365번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나님께서 날마다 염려하지 말고 살라는 말씀인 줄 알고 염려 없이 살아가는 성도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항상 강도가 들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 때문에 몇 년째 잠을 편히 자지 못하는 여성이 있었답니다. 어느 날 밤 자다가 집안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 남편이 아래층으로 내려가 보니 정말로 강도가 와 있었습니다. 그 남편은 강도를 향해 말했습니다. 뭐라고 말했을까요? “안녕하시오. 만나서 반갑소. 위층에 올라가 내 아내를 만나 보시요. 당신 만나기를 10년이나 기다리고 있었다오.” 한 번이면 될 염려를 10년 동안 한 어리석은 사람에 대한 교훈적인 이야기입니다.
잠17:22에서는 “마음의 즐거움은 양약이라도 심령의 근심은 뼈를 마르게 하느니라”말씀합니다. 근심의 독이 얼마나 강한지 뼈까지 마르게 합니다. 염려는 자기 영육 간을 죽이는 독입니다. 노벨 의학상을 받은 카렐 박사는 “근심과 싸우는 방법을 모르는 사업가는 일찍 죽는다.”는 말을 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염려와 근심을 처리하는 법을 말슴합니다.
염려를 어떻게 이길까요?
1. 하나님의 명령으로 이깁니다.
6절의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이것은 하나님의 명령입니다. 성경에 염려하지 말라는 말씀은 대부분 명령형입니다. "염려하지 말라."(마6:25, 벧전5:7) 우리는 십자가 군병입니다.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어야 합니다. 염려야 말로 백해무익한 것입니다.
‘염려’라는 헬라어는 ‘메린나우’라고 하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나눈다는 뜻의 ‘메리조’와 마음이라는 뜻을 가진 ‘누스’의 합성어입니다. 염려하면 마음이 나누어진다는 말씀입니다. 이 말은 단순한 분리가 아니라 물거품처럼 부서지고 약해지는 하나님께 대한 불신을 의미합니다.
눅12:22에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라” 하셨습니다. 눅 21장을 보면 말세의 성도들이 빠지기 쉬운 악 세 가지 중에 하나가 염려입니다. 염려는 죄악의 방탕만큼 해로운 죄입니다. 마 13장을 보면 가시떨기에 떨어진 씨앗은 열매를 맺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염려는 영적생활의 최고의 악입니다.
‘걱정, 근심’을 영어로 ‘Worry’(워리)인데 ‘Worry’의 어원을 살펴보면 ‘물어뜯는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마치 ‘짐승이 이빨로 목을 꽉 물어 질식해 죽이듯’ 그런 무서운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한 번 염려의 병에 빠져들기 시작하면 그 심령은 질식당합니다.
염려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되고 오히려 에너지만 소비할 뿐입니다. 예수님은 염려한다고 키가 작은 사람이 한 자나 커지더냐고 반문하셨습니다. 염려는 좋지 않는 결과만 낳을 뿐입니다.
사람들은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가불해서 걱정합니다. 이것을 우리 속담에 염려도 팔자라고 합니다. 아서 랭커라는 사람은 사업부진으로 매일 걱정으로서 하루하루 살아가다가 어느 날 문득 이런 지혜가 떠올랐습니다. 내가 이렇게 매일 염려에 시달리며 살게 아니라 염려하는 날을 정해서 그 날만 염려를 한꺼번에 염려하자. 그래서 랭커는 매주 수요일을 염려의 날로 정하고 염려거리가 생기면 그 염려를 적어 염려함에 넣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불과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염려하여 적어 넣었던 문제들은 거의 다 해결 됐거나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문제로 변해 있었습니다.
우리 마음에서 염려만 몰아내도 우리의 삶은 만사형통합니다. 염려는 불신인데 불신 때문에 형통치 않는 것입니다. 염려를 몰아내고 하나님이 도우실 것이라는 확신에 선다면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도우십니다. 염려하지 말라는 명령에 따르시기를 바랍니다.
2. 기도와 간구로서 이깁니다.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그랬습니다. 염려하지 말라고 해도 그게 쉬운 일입니까? 마음을 통제하는 사람은 성을 빼앗는 장수보다 더 강한 사람인데 그런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당나라의 시인 이백(李白)은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도단수수경유 거배소수수경수’(刀斷水水更流 擧杯消愁愁更愁) ‘칼로 흐르는 물을 내리쳐도 물은 끊이지 않고 계속 흐르듯이 잔을 들어 술 마시며 걱정을 씻으려 해도 걱정은 더욱 쌓여만 간다’라는 뜻입니다. 사람의 힘으로는 염려와 근심을 해결할 길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해야 할 것은 하나님 앞에 기도와 간구입니다. 기도와 간구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기도는 우리의 문제를 그대로 쏟아 내놓고 여쭙고 말씀을 기다리는 것이라면 간구는 우리의 문제를 하나님 앞에 해결해 달라고 간청하는 기도입니다. 또 기도가 하나님과의 일상적인 대화라면 간구는 하나님께 간청입니다. 하나님께 기도로서 아뢰고 여쭙고 기다리면 지혜를 주십니다. 원인을 알게 하십니다. 원인을 알면 해결이 보입니다.
기도해도 염려가 물러가지 않으면 특별한 마음으로 기도하세요. 철야기도 작정기도 종일기도 금식기도라도 해서 염려를 물리치세요. 십자가를 앞에 두시고 기도하셨던 겟세마네 동산의 예수님의 기도처럼 염려가 떠나가도록 부르짖으시기 바랍니다.
한 번 물어 보겠습니다. 문제를 물리치는 것이 더 쉽겠습니까? 염려를 물리치는 것이 쉽겠습니까? 문제가 더 쉽다면 문제를 물리치세요. 그러나 염려를 물리치는 것이 쉽다면 염려를 물리치세요. 염려 물리치는 것이 더 쉽습니다. 하나님은 염려를 이긴 자를 도우십니다.
막2:9에 예수님께서도 “중풍병자에게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네 상을 가지고 걸어가라 하는 말이 어느 것이 쉽겠느냐” 물으셨습니다. 더 쉬운 편을 택하세요. 둘 중 하나로 해결된다면 저는 문제보다 마음의 염려 극복하는 편을 택하겠습니다.
염려는 영적생활의 부족에서 옵니다. 쥐는 설치류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설치류는 땅 위나 땅 속에서는 살 수 있지만 하늘 높이 올라가면 죽습니다. 두더지 같은 짐승은 아주 심해서 밖에만 나와도 한 시간 내로 죽습니다. 한 비행사가 비행을 하던 중 비행기 안에 쥐를 발견했습니다. 비행기에 쥐가 있으면 전선을 갉아먹는 등 아주 위험합니다. 그래서 비행사는 비행기의 고도를 2만 피트로 높이 올렸습니다. 그랬더니 곧 쥐가 죽었다고 합니다. 우리의 영적고도가 높아지면 염려의 쥐는 사라지게 된다는 교훈입니다.
다윗도 어려운 일 당해 부르짖고 고도를 높였습니다. 그랬더니 이렇게 찬송할 수 있었습니다. 시46:1-3에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요 힘이시니 환난 중에 만날 큰 도움이시라 그러므로 땅이 변하든지 산이 흔들려 바다 가운데 빠지든지 바닷물이 흉용하고 뛰놀든지 그것이 넘침으로 산이 요동할지라도 우리는 두려워 아니 하리로다”(시46:1-3) 했습니다. 염려가 사라지고 평안이 오면 그것은 하나님의 보장을 받은 것이니 만사형통입니다. 그러므로 기도와 간구가 부족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3. 감사함으로 이깁니다.
빌4:6-7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고 하셨습니다.
감사의 기도는 믿음의 기도요, 영광을 돌리는 기도입니다. 좋으신 하나님 아버지를 생각하면 감사의 기도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믿는다고 기도하지 않는 잘못을 범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염려가 되지 않는다 해도 생각날 때마다 감사로서 영광 돌리는 기도를 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내 기도를 들으시고 나의 문제를 책임지신다는 확신 속에 사시기 바랍니다. 요일5:14-15에 “그를 향하여 우리의 가진 바 담대한 것이 이것이니 그의 뜻대로 무엇을 구하면 들으심이라 우리가 무엇이든지 구하는 바를 들으시는 줄을 안즉 우리가 그에게 구한 그것을 얻은 줄을 또한 아느니라”고 말씀했습니다.
아버지께서 책임지신다는 약속은 확고합니다. 벧전5:7을 새로 번역한 개정판으로 보면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롬8:32에 “자기 아들을 아까지 아니하시고 내어주신 이가 어찌 그 아들과 함께 모든 것을 우리에게 은사로 주지 아니하시겠느뇨”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아이가 아버지에게 내일 먹을 양식 걱정하면 아버지는 “무슨 쓸데없는 소리냐? 공부나 해라”고 말할 것입니다. 주님도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더하시리라” 하셨습니다. 쓸데없는 걱정 말고 신앙생활 잘하라는 말씀입니다.
초대교회 성도들은 자기 이름 앞에 ‘티테디오스’라는 말을 붙이고 다녔습니다. 티테디오스는 염려에서 해방된 사람을 뜻합니다. 우리들도 티테디오스 아무개라고 붙인 티테디오스 신자가 되어야겠습니다. 예수님은 내일 염려는 내일 하라 하셨습니다. 그럼 다음 날 염려하라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다시 내일입니다. 내일 내일 내일,,, 결국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성경은 우리에게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라고 명령하고 있습니다. 염려는 하나님의 은혜와 복을 누리는데 반드시 극복해야 할 문제입니다. 더 높은 영적 고도에 오르십시다. 염려를 넘어 평안하시기 바랍니다. 평강은 하나님의 보증수표입니다. 우리 모두 염려를 주님께 맡기고 돌보실 것을 믿는 믿음 안에서 하나님의 돌보심의 기적 속에 살아가는 성도들이 되시기 바랍니다.